본문 바로가기

수능 국어/학력평가(고3)

신석정-역사/문태준-빈집의 약속/김석주-의훈(2022학년도 4월 고3 학평)

신석정-역사

🍫작품 한 입 베어물기

역사를 이끌어 온 민중의 저력과 위대함을 예찬함

 

*작품 해설

-소박하고 일상적인 자연물을 통해 민중의 저력과 위대함을 노래한 작품

-시적 화자는 여린 '달래꽃'의 모습으로부터 강인한 생명력으로 고난을 감내하며 영속적으로 삶을 영위해 온 민중을 떠올림

-역사를 이끌어 온 주체인 민중이 연대와 화합을 통해 긍정적 미래를 밝힐 수 있다는 인식을 드러냄

 

*작품의 감상

[1연]

-하잘것없지만 길이 멸하지 않을 달래꽃은→여리지만 계속해서 삶을 이어가는 민중의 영속성을 드러냄 (19번-①)

-하늘과 땅 사이를 어렴풋이 이끌고 가는 마음은→달래꽃이 피어나게 하는 원인으로, 역사를 이끌어 온 주체인 민중의 저력과 관련된 것임 (19번-②)

-'마음'은 '피어나는'과 연결되어 대상을 존재하게 하는 원인을 드러냄 (20번-⑤)

→'크나큰 그 어느 알 수 없는 마음이 있어'(원인) 달래꽃이 '피어'난다(결과)고 한 부분과 관련됨

[2연]

-얼어붙었던 대지를 뚫고 솟아오르는 달래꽃은→민중의 강인한 생명력을 드러내고 있음 (19번-③)

-긴 역사와 위대한 힘을 가진 달래꽃의 모습은→역사를 이어 온 민중의 저력을 드러내고 있음 (19번-④)

-마음에 '수의'를 걸치고 있다는 표현은→화자가 벗어나고 싶어 하는 심적인 억압을 옷에 빗댄 표현을 활용하여 주관적으로 형상화한 것임 (22번-①)

[3연]

-햇볕, 바람, 벌나비와 입 맞추고 살아가는 달래꽃의 모습은→연대하고 화합하는 민중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음 (19번-⑤)

-손의 '핏줄'이 뜨겁다는 표현은→화자가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대상을 촉각적인 시어를 활용하여 생생하게 드러낸 것임 (22번-②)

 

*표현상의 특징

-'한 송이의 달래꽃을 두고 보드래도'를 반복하여 시구가 지닌 의미를 강조함 (18번-④)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이 나타남: 1연의 '(마음이) 있어, (피어나)는 것이요, (멸하지 않)을 것이다' / 2연의 '…(힘을) 가졌기에, (살아가)는 것이요, …(살아가야 하)는 것이다' / 3연의 '…(길이) 있어, (사랑하)는 것이요, …(사랑해야 하)는 것이다' 

 

 

문태준-빈집의 약속

🍫작품 한 입 베어물기

순간의 감정, 기억이 다양하게 스쳐 지나가는 마음에 대해 성찰함

 

*시어와 시구의 이해

-'마음'은 '늘 빈집'과 연결되어→채워졌다가도 비워지는 상황을 드러냄 (20번-⑤)
 →2연에서 '마음'은 '늘 빈집'이어서 '전나무 숲'이 '들어앉았다 나가'는 모습으로 나타남
-'마루'가 들어와 살았다는 표현은→화자의 바람이 마음 속에서 이루어진 상황을 실재하는 대상을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형상화한 것임 (22번-③)
-마음 안의 '고요'가 둥그렇다는 표현은→화자의 잠잠한 내면을 시각적인 시어를 활용하여 실재하는 것처럼 드러낸 것임 (22번-④)
-'어떤 때는'의 반복을 통해 시구가 지닌 의미를 강조하고 있음 (18번-④)
 →심리 상태의 변화를 강조함

 

 

김석주-의훈

🍫작품 한 입 베어물기

정신적 풍요로움을 지키는 것의 중요성

 

*내용 이해

-㉠'바탕이~염려됩니다': 가지지 못한 것을 얻으려 하다가 '양비'마저 잃게 되는 상황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고 있음 (21번-①)
-㉡'이른바~않습니다': 몸을 살찌우는 네 가지 조건이 '양비'의 바탕이 아님을 드러내고 있음 (21번-②)
-㉢'설령~맙니다': 몸을 살찌우는 것보다 '양비'를 지키는 것이 더 가치있는 것임을 드러내고 있음 (21번-③)
-㉣'이 때문에~것입니다': 옛날의 현인과 군자가 '양비'를 지키고자 했음을 통해 마음을 살찌우는 것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있음 (21번-④)
-㉤'이것이~없으니': 도덕과 인의를 지켜 '양비'가 '온전해지면' 몸이 살찌는 것을 '부러워'하지 않게 될 것이라는 의미임 (21번-⑤)
-'형산의 옥'은 마음을 살찌우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세속적 가치와의 유사성을 활용할 수 없음 (22번-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