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국어/학력평가(고3)

은희경-새의 선물(2021학년도 3월 고3 학평)

 

은희경-새의 선물

🍫작품 한 입 베어물기

열두 살 소녀가 바라본 어른들의 삶과 자신의 성장기

 

*작품 해설

-이 작품은 열두 살 소녀가 자신의 내적 상처를 딛고 성장해 가는 과정을 그린 소설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진희(나)'는 어린 아이지만 아이답지 않은 시선으로 어른들의 세계를 관찰하며 자신이 간파한 어른들의 비밀을 서슴없이 들추어 보여 준다.

-자신이 더 이상 성장할 필요가 없다고 단정해 버린 당돌하고 영악한 소녀 '진희'는 일찍 세상을 떠난 엄마에 대한 근원적인 상처를 안고 있다. 

-자신을 아껴 주는 외할머니와 조금은 철이 없는 이모의 사랑 속에서 살고 있으면서도 '진희'는 세상이 결코 자신에게 호의적이지 않다고 느낀다. [세계 인식]

-따라서 자신을 '바라보는 나'와 '보여지는 나'로 분리하여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고자 한다. [대응 방식]

 

 

*28번 문제

①'나'가 '누구보다 일찍 나를 숨기는 방법'을 터득한 것은

'나'가 내면을 감추기 위해 노력해 온 것과 관련됨[대응 방식]

②'남의 시선으로부터 강요를 당하고 수모를 받는'다고 느끼는 것은

→'나'가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해 결코 호의적이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과 관련됨[세계 인식]

'어른들의 비밀'을 털어놓는 데에 '빚진 마음'이 없다고 한 것은

→'나'가 어른들의 가식적인 세계를 드러내는 것이 부도덕한 것이 아니라고 여긴 것임

이모의 편지에 대해 '형식적인 포장을 극복'했다고 평가하며 '이형렬과의 관계'가 깊어졌으리라고 짐작한 것은

→'나'의 아이답지 않은 시선을 드러내는 것임

'이모의 비밀을 혓바닥 밑에 감추고 있는 셈'이라고 한 것은

→'나'가 이모의 비밀을 알면서도 그 사실을 숨기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임. 곧, <보기>X, 연결X이므로 오답

 

*29번 문제

-'나'가 '나 아닌 다른 나'를 만든 것을 '위선'이 아니라 '작위'라고 규정함으로써→ 자신이 '부도덕'하다는 심리적 부담감에서 벗어나고 있음

 

*26번 문제

-서술상의 특징;'나'가 간추린 [A]'이형렬이 이모에게 보낸 편지'와 [B]'이모가 이형렬에게 보낸 편지'의 차이점

-[B]는 간추린 편지의 내용에 서술자 '나'가 알고 있는 관련 내용을 덧붙임으로써 편지를 쓴 이모의 가식적인 모습을 드러내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