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저승 체험담
-이승의 행위에 대한 저승에서의 가치판단을 통해 선업(善業)과 악업(惡業)을 구별하고 상벌을 받게 함
-저승을 이승에서 오갈 수 있는 곳으로 형상화하고 오가는 길에 인물이 겪은 일을 제시하여 저승 체험의 구체성을 더함
일연-선율 환생
🍫작품 한 입 베어물기
선율의 불경 완성 일화와 도적질에 대한 경계
*작품 해설
-<삼국유사>에 수록된 설화
-선한 행위를 하면 극락에 가고, 악한 행위를 하면 지옥에 간다는 불교의 가르침은 불교를 받아들인 사람들에게 삶의 원리를 제공해 주는 것이었음
-지옥 이야기의 중요한 구성 요소를 잘 갖추고 있는 이 설화를 통해 불교가 성행했던 시기에 지옥의 가르침이 어떻게 일반인들에게 전달되었고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볼 수 있음
작자 미상-설홍전
🍫작품 한 입 베어물기
적강한 선관인 설홍이 천도를 앗아 먹었다는 죄로 저승으로 잡혀와 고난을 겪음
*작품 해설
-설홍의 무용담을 엮어 놓은 영웅소설: 이 작품의 전반부에서는 주인공이 여러 차례 시련을 겪은 플롯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으며, 후반부에서는 영웅적인 활약상을 제시하고 있음
-설홍은 부모를 일찍 여의고 산중에 버려져 죽을 위기에 처함→이때 봉황이 나타나 환생초를 물고 와 설홍을 소생시키고 나무 열매를 물어다 주며 밤에는 날개로 감싸 키움→그러던 중 봉황이 사라지고, 설홍은 천도를 도적질했다는 저승의 판단에 의해 저승으로 붙잡혀 와 염라대왕에게 문초를 당함[출제 부분]→설홍은 염라대왕에게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고 풀려나 이승으로 돌아오지만[출제 부분] 계속 여러 고초를 겪음
*11번 문제
③<설홍전>에서는 '왕명을 어이하리오.'라는 서술자의 개입이 드러나
→저승으로 잡혀가면서 지성으로 비는 설홍의 모습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음
*15번 문제
①염라대왕이 선율의 수명을 연장해 준 것은
→불경의 완성을 선업으로 여기는 가치 판단을 통해 불경 완성의 당위성을 강조한 것임
②'이십 전 여아'가 궁녀로서 신하를 간통하여 어진 성군을 죽이고 그 신하를 세우고자 한 죄로 저승에 잡혀온 것은
→임금에 대한 지조와 충절을 중요하게 여기는 윤리 의식을 보여 주는 것임
④설홍을 이승으로 돌려보낸 것은 설홍이 자신의 결백함을 염라대왕에게 주장했기 때문임
→염라대왕이 설홍의 책임을 추궁한 것은 설홍에게 죄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므로,
그것이 설홍이 이승으로 돌아온 것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을 부여하지는 못함(인과관계 확인)
⑤<선율 환생>에서 여인은 부모가 논 한 이랑을 훔친 죄에 연루된 까닭으로 저승에 잡혀 오고,
<설홍전>에서 설홍은 천도를 앗아 먹었다는 죄로 저승에 잡혀 옴
→도적질을 악업으로 여겨 이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음
'수능 국어 > 학력평가(고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자 미상-김씨열행록/안석경-검녀(2021학년도 4월 고3 학평) (0) | 2021.05.04 |
---|---|
유치환-경이는 이렇게 나의 신변에 있었도다/김승희-달걀 속의 생2(2021학년도 4월 고3 학평) (0) | 2021.04.29 |
은희경-새의 선물(2021학년도 3월 고3 학평) (0) | 2021.04.05 |
애정 시조에 나타나는 달의 작중 기능(2021학년도 3월 고3 학평) (0) | 2021.04.05 |
설목-김남조/겨울날-김광섭(2021학년도 3월 고3 학평) (0) | 2021.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