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치환-경이(驚異)는 이렇게 나의 신변에 있었도다
🍫작품 한 입 베어물기
북두성좌를 통해 인간의 삶을 지키는 우주적 섭리에 대해 깨달음
*'북두성좌'에 대한 시적 화자의 인식
-가족을 보호하는 주체임
-짧은 시간을 영위하는 인간에게 우주의 무궁함이 인연되어 있었음을 깨닫는 것으로 연결됨
*2번 문제
①'북두성좌'는 '푯대처럼' '우리 집'을 지키고 있으므로→화자 가족을 보호하는 주체로 볼 수 있음
②'천상(天上)'은 화자 가족의 '의고(擬古)한 단란을' '지켜 있'는 '북두성좌'가 '밤마다' 존재하는 공간으로 형상화됨
*3번 문제
화자는 '아이'에게 '어서 돌아와' '우리 집으로 가자'고 하고 있으므로→'우리 집'은 화자가 가족과 함께 회귀하고자 하는 공간으로 활용된 소재임
*4번 문제
①'아이야'를 통해→시적 대상인 '아이'가 청자로 설정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④화자와 '저물도록 돌아오지 않'는 아이를 통해→'학교'간 아이를 시적 화자가 기다리는 시적 상황을 확인할 수 있음
⑤'인간'의 '수유한 영위에' '인연 되어 있'는 '우주의 무궁함'을 통해→대비되는 존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맥락(시적 상황)을 확인할 수 있음

김승희-달걀 속의 생(生)2
🍫작품 한 입 베어물기
냉장고 속의 달걀을 통해 시적 화자의 처지를 확인하고 삶에 대한 비애를 드러냄
*작품 한눈에 보기
시적 상황 <-> 화자
가난 정서: 비애, 절망
태도: 체념적
*2번 문제
③'그것들(=달걀 한 줄)'은 화자가 '아무리 배가 고파'도 '쉽게 먹을 순 없'는 존재로 형상화되어 있음
④'보글보글'이라는 음성 상징어를 사용하여→ '마분지곽 위로' '기어오르'는 '노란 것들(=노란 병아리들)'의 생명력이 느껴지는 행동을 표현함
⑤'싸게 팔려온' '너희들(=달걀들)'은 금전적으로 평가 절하된 존재로 형상화되어 있음
*3번 문제
화자는 '냉장고'를 열고 접한 '달걀들'을 통해 자신 '역시 여권이 분실된' 것과 같은 정체성 혼란을 느끼는 처지임을 확인하게 됨.
*4번 문제
①'너희들'을 통해 시적 대상인 '달걀들'이 청자로 설정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②'부화를 기다리'는 '나'를 통해 시적 대상인 '달걀들'과 시적 화자가 동일시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③'어미닭'의 '따스한 품속'에 '안기지 못하고 만' '달걀들'의 '엄마 엄마 안아줘요'라는 '속삭임소리'를 통해
시적 화자가 시적 대상인 '달걀'을 '추위에 떨고 있는 가녀린 생명체'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④'가난'한 시적 상황을 '우리' '형제들'이 '중풍으로 쓰러진 아버지'의 '입원비 걱정을 하'고 있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음
⑤'살아서 즐'거워 보이는 '병아리들'과 '살아서 불행'한 '나'를 통해 삶의 태도가 대비되는 존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맥락을 확인할 수 있음
'수능 국어 > 학력평가(고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조의 노년 표현법(2021학년도 4월 고3 학평) (0) | 2021.05.04 |
---|---|
작자 미상-김씨열행록/안석경-검녀(2021학년도 4월 고3 학평) (0) | 2021.05.04 |
은희경-새의 선물(2021학년도 3월 고3 학평) (0) | 2021.04.05 |
애정 시조에 나타나는 달의 작중 기능(2021학년도 3월 고3 학평) (0) | 2021.04.05 |
일연-선율 환생/작자 미상-설홍전(2021학년도 3월 고3 학평) (0) | 2021.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