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탁-한 손에 막대 잡고
🍫작품 한 입 베어물기
거스를 수 없는 백발을 막고 싶은 마음을 해학적으로 표현
*작품 해설
-'백발'이 드는 과정을 막고 싶어 하는 화자의 모습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나이가 들어 백발이 생기는 것은 자연의 이치이나 화자는 '가시'와 '막대'를 이용하여 이를 막으려고 한다.
-화자의 행동이 애초에 불가능한 것과 화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 백발이 '지름길'을 통해 빠르게 온 것에서 웃음이 유발된다.
*작품에서 해학을 유발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감상
-거스를 수 없는 '백발'을 '가시'와 '막대'로 막으려는 상황이 부조화를 이루며 웃음이 유발된다 (19번-①)
-늙음이 오히려 빠르게 다가온다는 것을 '지름길로 오더라'로 재치 있게 표현한 것에서 웃음이 유발된다 (19번-④)
작자 미상-임이 오마 하거늘
🍫작품 한 입 베어물기
부재한 임을 기다리며 임을 보고싶어 하는 간절한 마음을 해학적으로 표현
*작품 해설
-임이 부재한 상황에서 임을 보고 싶어 하는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초장에서 임이 온다는 약속을 떠올리며 임을 기다리는 모습이,
중장에서 임을 기다리는 모습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타나고 화자가 본 대상을 임이라 생각한 후에는 거침없고 과장되게 행동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하지만 종장에서 이 모든 것이 화자의 착각이었음을 알아차리며, 밤이어서 멋쩍은 상황을 남들이 알아채지 못한 것을 다행이라 여기며 안도한다.
*작품에서 해학을 유발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감상
-'임'으로 확신했던 것이 '주추리 삼대'로 밝혀지며 상황이 반전되는 것에서 웃음이 유발된다 (19번-②)
-임을 만나기 위해 '버선'과 '신'을 신지 않고 허둥대는 모습을 과장하여 희화화한 것에서 웃음이 유발된다 (19번-⑤)
*시어 ㉠'밤'에 대한 이해
-자신의 행동이 감추어진 것에 대한 안도감을 느끼는 시간이다. (17번-⑤)
→'남 웃길 뻔'한 '낮'과 대조되는 시간임
*표현상의 특징
-음성 상징어를 활용하여→작중 상황을 생동감있게 나타내고 있다. (16번-⑤)
→'곰비임비 임비곰비 천방지방 지방천방', '워렁퉁탕'을 활용하여 임을 만나기 위해 허둥대며 달려가는 모습을 표현함
-화자의 공간 이동에 따른 정서 변화의 추이를 중심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16번-④)
→화자는 '중문 나서 대문 나가 지방 위로 올라가 앉'기도 하며, '주추리 삼대'를 임이라 착각한 대목에서는 한달음에 달려 나가는 등 화자의 공간 이동이 나타남
→공간 이동에 따라 임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고조되고 임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후에 실망감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정서 변화를 짐작할 수 있음
김상용-백리금파에서
🍫작품 한 입 베어물기
기지를 발휘하여 참새들이 쌀알을 배불리 먹을 수 있게 한 경험을 해학적으로 표현
*작품 해설
-황금 벌판이 펼쳐져 있음에도 아이들의 훼방으로 쌀알을 먹지 못하고 굶주리고 있는 참새들을 위해 글쓴이가 기지를 발휘하여 참새들이 배불리 먹을 수 있도록 한 경험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글쓴이는 극성스럽게 참새들을 쫓는 아이들에게 '오뚝이'를 상으로 걸고 씨름을 시킨다.
아이들은 처음에는 수줍어하지만 금세 경쟁의 열기가 달아올라 참새를 쫓는 일은 잊게 된다.
씨름이 진행되는 동안 쌀을 먹은 참새들이 배부른 꿈을 꾸리라 생각하며 글쓴이는 만족감을 나타낸다.
*작품에서 해학을 유발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감상
-아이들이 '참새를 ' 쫓는 것에 관심을 두던 상황이 '오뚝이'를 쟁취하기 위한 씨름에 몰두하는 상황으로 전이되며 웃음이 유발된다 (19번-②)
-'참새'에게 쌀알을 배불리 먹게 해 준 일을 '벼 두 되를 횡령'한 것으로 재치 있게 표현한 것에서 웃음이 유발된다 (19번-④)
*㉡'오늘 밤'에 대한 이해
-자신이 행동한 결과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는 시간이다. (17번-5)
→글쓴이가 아이들의 관심을 딴 데로 끌어 그 시간 동안 배불리 먹은 참새들이 '배부른 꿈을 꿀' 수 있으므로
*표현상의 특징
-음성 상징어를 활용하여→작중 상황을 생동감있게 나타내고 있다. (16번-5)
→'수북수북'을 활용하여 논배미에 벼가 수북히 깔린 모습, '꽝꽝'을 활용하여 더벅머리 떼가 석유통을 두드려 참새들을 쫓는 모습을 나타냄
'수능 국어 > 학력평가(고2, 고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성준 창본-수궁가(2022학년도 6월 고1 학평) (0) | 2022.06.27 |
---|---|
작자 미상-월영낭자전(2022학년도 3월 고2 학평) (0) | 2022.05.08 |
김주영-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2022학년도 3월 고2 학평) (0) | 2022.05.08 |
나희덕-그 복숭아나무 곁으로/복효근-잔디에게 덜 미안한 날(2022학년도 3월 고2 학평) (0) | 2022.05.04 |
김영랑-사개 틀린 고풍의 툇마루에/정진규-따뜻한 달걀(2022학년도 3월 고1 학평) (0) | 2022.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