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국어/수능, 평가원 모평

작자 미상-소현성록(2023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작자 미상-소현성록 (23학년도 대비 수능 특강 문학 138-141쪽)

🍫작품 한 입 베어물기

당대 가부장적 가족 제도를 바탕으로 일어난 소씨 가문의 갈등과 해결

*작품 해설

-이 작품은 17세기 가부장제 강화와 가문 중심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소씨 가문의 수호와 번영을 다루고 있는 국문 장편 소설로, 한 가문의 3대에 걸친 이야기를 서술하고 있다.

-제1대의 현성, 제2대인 운경과 운성, 제3대인 세명과 세광을 중심으로 가족 구성원들이 겪는 갈등과 그 해결이 유교 사상 및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다.

-사건 전개 과정에서 가부장적 가문의 질서 유지에 필요한 유교 사상과 가족 구성원의 행동이 강조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이 작품은 당대 가부장적인 가족 제도의 행동 규범을 제시하는 수신서의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6월 모고에 출제된 부분]

여씨는 상서의 총애를 차지하고자 저주의 말을 석씨가 쓴 것처럼 꾸며 석씨를 내쫓는다. 여씨는 화씨도 모함하려고 약을 먹고 화씨로 둔갑하나 정체가 탄로나고 여씨는 벌을 받는다.    
[수특 문학에 수록된 부분]

소 승상은 황제의 딸인 명현 공주를 자기와 자기의 어머니를 욕보인 죄로 운성과 사옥(私獄)에 가두고, 황제에게 상소를 올려 공주를 죽이고자 한다고 아뢴다. 황제는 팔왕을 불러 소 승상을 타이르게 하나, 소 승상은 가부장적 가족 제도를 바탕으로 한 풍속의 교화를 들어 이를 거절한다. 팔왕이 돌아간 후 소 승상은 공주의 죄를 용서하라는 어머니의 편지를 받고 나서야 공주에 대한 처벌을 멈춘다.

*음모 모티프를 중심으로 작품 이해

21번 <보기>
-음모 모티프: 인물이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음모를 실행하는 이야기 단위
 음모의 진행 과정에 환상적 요소가 사용되기도 하고 조력자가 등장해 음모자를 돕기도 함 
-서사적 기능: 음모가 실행되면서 서사적 긴장이 고조됨
 음모자의 욕망 실현이 지연되면 서사적 긴장은 일시적으로 이완됨. 이때 음모자가 또 다른 음모를 꾸미나 결국 음모의 실체가 드러나며 죄상에 따라 처벌됨 
[제시문 분석]
-여씨가 자신을 석씨와 견주고 양 부인과 석씨를 '이간'하려는 데서→석씨와의 경쟁 관계를 의식한 여씨의 욕망에서 음모가 비롯됨을 알 수 있음 (21번-①)
-여씨가 꾸민 '봉한 것'이 계성을 통해 양 부인에게 전해진 데서→ 상하 관계에 있는 음모자와 조력자에 의해 서사적 긴장이 고조됨을 알 수 있음 (21번-②)
-'그 글'이 불살라지고 시녀들의 누설이 금지된 데서→양 부인에 의해 음모의 실행이 저지되어 서사적 긴장이 일시적으로 이완됨을 알 수 있음 (21번-③)
-'회면단'을 먹고 여씨가 본래 모습으로 돌아오는 데서→음모자가 욕망의 실현을 위해 준비한 환상적 요소가 음모의 실체를 드러내는 도구로 작용함을 알 수 있음 (21번-④)
-상서는 여씨가 화씨의 방을 엿들은 일을 두고 '금수의 행동'이라고 하였으며, 여씨가 앞으로 '과실을 고쳐' 나가길 당부하며 여씨를 교화하려고 하였음. '어젯밤 일'은 여씨가 꾸민 음모와 악행의 실상을 밝혀낸 것이며 그 처분으로 양 부인이 여씨를 내치게 됨
 →두 사건에서 상서와 양 부인이 저마다 다르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 준 것임 (21번-⑤ 참고)

*'소현성록'에 나타난 갈등과 해결 양상의 특징을 가부장적 가문의 질서 유지를 중심으로 감상

-소 승상이 형부 상서와 예부 상서를 불러 지시하는 내용을 통해→당시에는 가부장적 가족 제도의 행동 규범이 법전에 수록될 정도로 중시되었음을 알 수 있음 (수특 3번-①)

-공주가 시아버지를 모욕하고 지아비를 죽이려 했기에 공주를 살리기 위해서는 소 승상을 위로해야 한다는 황제의 말을 통해→왕권보다 가부장적인 가족 제도의 권위가 중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수특 3번-②)

-황상의 체면보다는 부모를 욕한 일이 더 중요하다며 팔왕의 제안을 물리치는 소 승상의 모습을 통해→왕권보다 가부장적 가족 제도의 권위를 중시하는 인물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음 (수특 3번-③)

-공주를 죽이는 일이 풍속을 교화하는 것과 관계된다는 소 승상의 말을 통해→소 승상과 그의 어머니를 욕보인 공주의 행동은 당대 사람들이 지켜야 할 가부장적인 가족 제도의 행동 규범에 어긋나는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음 (수특 3번-④)

-삼강 법도의 해이함을 걱정하면서도 어머니의 글을 본 후 공주에 대한 처벌을 멈추는 소 승상의 모습은→자식으로서 부모의 말을 따라야 한다는 유교 사상에 의한 행동이다. (수특 3번-⑤ 참고)

*서술상의 특징

-한 인물과 다른 인물들 간의 다면적 갈등 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18번-④)
 →제시된 부분에 여씨-석씨, 여씨-상서, 여씨-양 부인 등 한 인물이 다른 여러 가족 구성원들과 빚는 다면적 갈등 관계가 나타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