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두진-별-금강산시3
🍫작품 한 입 베어물기
금강산의 아름다운 자연과 동화되는 과정
*작품 해설
-마치 한 편의 기행문처럼 금강산으로 가는 길에서 보고 듣고 느낀 바를 형상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시상 전개]
-1연~2연: 금강산에 들어오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는데, 먼 곳을 떠나 점차 금강산의 자연에서 인간적 번뇌마저 잊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3연~4연: 금강산에서 본 아름다운 자연 풍광을 다양한 음성 상징어를 활용하여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5연~6연: 바다와 산이라는 공간에서 모두 별이 뜬 아름다운 자연 풍경을 바라보는 화자의 내면을 그리고 있다.
*자연을 형상화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작품 감상
-'화안한 골 길'과 '백화 앙상한 사이'를 통해→화자가 여정 속에서 만난 자연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음 (23번-①)
-'바다의 별들'과 '하늘에 별들'을 통해→화자의 내면에 투영된 자연에 대한 주관적 인상을 형상화하고 있음 (23번-②)
→5연에서 화자는 '동해안'에서 본 '바다의 별들'이 장엄하다고 느꼈으며, 6연에서는 '산장'에서 본 '하늘에 별들'이 꽃처럼 난만하다고 느낌
-'꽃과 같이 난만하여라'에서→대상(별)에 대한 화자의 긍정적인 태도를 엿볼 수 있음 (23번-⑤)
*배경의 기능을 중심으로 작품 감상
-'인기척 끊'긴 '한낮'은→화자가 생각에 잠길 만한 시간으로 볼 수 있음 (24번-⑤)
*시어, 시구의 의미와 기능을 중심으로 작품 감상
-1연: '아득히', '왔더니라'를 반복하여→'첩첩한 산길'과 '머언 생각에 잠기'는 화자의 내면을 조응시키고 있음 (25번-①)
-2연: '물소리에 흰 돌 되어 씻기우며'에서→자연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음 (25번-②)
→'흰 돌'은 화자를 비유한 것으로, 이 돌이 '물소리'에 씻긴다는 것은 화자가 자연에 동화되고 있음을 나타낸 것임
-3연: '오래여 삭은 장목들'과 '풍설에 깎이어 날선 봉우리'를 통해→자연의 유구함에서 풍기는 분위기를 표상하고 있음 (25번-③)
→장엄한 분위기
-3연의 '훌 훌 훌', 4연의 '쏴아', '호르르르'와 같은 표현으로→자연의 풍경을 생동감 있게 형상화함 (25번-④)
-5연의 '동해안'과 6연의 '산장'은 화자가 자연의 아름다움을 체험한 유사한 속성의 공간이고, 장소의 이동에 따른 화자의 태도 변화는 나타나있지 않음 (25번-⑤ 참고)
→5연: 화자는 '동해안'에서 '허다한 바다의 별들'을 보며 장엄함을 경험함
→6연: 화자는 '산장'에서 '하늘에 별들'이 '꽃과 같이' 가득 떠 있음을 경험함
*표현상의 특징
-빗대어 표현하는 방식으로→대상의 속성을 드러내고 있음 (22번-②)
→가을날 곱게 떨어지는 '낙엽'을 '낙화'에 빗대고, 하늘에 가득한 '별들'을 난만한 '꽃'에 빗대어 자연의 아름다운 속성을 드러냄
-예스러운 종결 표현으로→고풍스러운 느낌을 자아내고 있음 (22번-④)
→'-더니라'
신경림-길 (23학년도 대비 수능 특강 문학 93-95쪽)
🍫작품 한 입 베어물기
내적 성찰의 중요성
*작품 해설
-길을 의인화하여 인생을 살아가는 바람직한 방법에 대한 깨달음을 전달하고, 인간 중심적 사고를 하는 사람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두 종류의 '사람들'이 나온다. 어떤 '사람들'은 길이 외부에 있다고 여기는데, 이들은 자신들이 길을 만들었다고 생각하고 길이 사람들에게 시련을 주는 이유도 사람들을 위해서라고 말한다. 반면에 어떤 사람들은 길이 내부로 나 있다고 여기는데, 이들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이 중요하고, 자신이 길을 만들었다고 말하지 않는다.
*'길'의 의미와 기능을 중심으로 작품 감상
-'벼랑 앞에'서 '낭패'를 겪는 사람들의 상황을 보여 줌으로써→자신의 관점으로만 길을 이해한 사람들을 일깨우려 하고 있음 (23번-③)
-'세상 사는 이치'는 길이 사람들에게 가르치는 '세상 사는 슬기'를 이르는 것으로→길의 참된 뜻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지닌 생각과 관련이 있음 (23번-④ 참고)
→내면의 길을 찾아내어 내적 성찰을 이끌어 낸 사람들은 길이 밖으로가 아니라 안으로 나 있다고 여기는 사람들로, 길이 '세상 사는 이치'를 가르친다고 여기지 않음
-'꽃으로 제 몸을 수놓아 향기를 더하기도 하고'에서→대상(길)에 대한 화자의 긍정적인 태도를 엿볼 수 있음 (23번-⑤)
-수특 3번 문제 참고
㉠자기들이 길을 만든 줄 아는 사람들: 자신들의 인생을 스스로 만들어 갈 수 있다는 자신감을 지님
㉡벼랑이나 큰물로 인해 겪는 시련이 사람들에게 세상 사는 슬기를 가르친다고 여기는 사람들: 인생의 참된 의미가 다양한 세상 경험에 있다고 여김
㉢길이 밖이 아니라 안으로 나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의 소중함을 아는 사람에게 인생이 아름답게 펼쳐진다는 것을 깨달음
*시상 전개를 중심으로 작품 감상
-[E]는 길이 밖이 아니라 안으로 나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에게만 길이 고분고분한 태도를 보임을 표현하고 있음 (26번-④ 참고)
→길이 제 진정한 뜻을 아는 사람에게 꽃과 그늘을 선사하는 모습을 나타냄
*표현상의 특징
-빗대어 표현하는 방식으로→대상의 속성을 드러내고 있다. (22번-②)
→길을 의인화하여 바람직한 인생에 대해 깨달음을 전달하는 존재로 표현함
백석-편지
🍫작품 한 입 베어물기
밤과 관련하여 슬픔과 즐거움을 환기하는 두 경험
*작품 해설
-'당신'에게 자신의 체험을 친근하게 말하는 방식으로 전달하는 편지 형식의 수필이다.
-글쓴이가 '당신'에게 전달하려는 두 이야기는 모두 '밤'과 관련된 것으로, 개인적 경험과 공동체적 경험이 담겨 있다. 먼저 개인적 경험은 '당신'에게서 받은 '수선화 한 폭'을 보며 떠올린 글쓴이의 사랑 이야기로, 글쓴이에게 아름답지만 슬픈 감정을 환기하게 한다. 공동체적 경험은 복을 맞이하는 밤에 고향의 동네 처녀들이 잠시 용인된 일탈을 하며 즐거워하던 이야기로, 야생적 생명력이 넘치던 고향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이를 통해 독자는 슬픔과 즐거움이라는 삶의 양면성을 경험하게 된다.
*내용 이해
-글쓴이가 '당신'에게 말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어→독자는 자신이 편지의 수신인이 된 것처럼 친근함을 느낄 수 있음 (27번-①)
-'노란 슬픔의 이야기'는→'가슴의 병'을 얻은 여인과 관련된 개인적 경험으로 볼 수 있음 (27번-②)
-'육보름'에 대해 글쓴이가 체험한 고향의 즐거운 풍속을 '당신'에게 전달할 뿐→'당신'과 글쓴이의 경험을 대비하지 않고 있음 (27번-③ 참고)
-'부잣집'의 '기왓장을 벗겨 오'는 '새악시 처녀들'의 행동은→축제 같은 분위기 속에 일시적으로 용인된 것임 (27번-④)
-'자깔자깔', '끼득깨득'과 같은 음성 상징어에서→'새악시 처녀들'의 '허물없는 즐거움'과 쾌락을 느낄 수 있음 (27번-⑤)
*배경의 기능을 중심으로 작품 감상
-'아직 샐 때가' 먼 '이 남은 밤'은→글쓴이가 이야기를 계속할 만한 시간으로 볼 수 있음 (24번-⑤)
*표현상의 특징
-빗대어 표현하는 방식으로→대상의 속성을 드러내고 있다. (22번-②)
→'나'가 좋아했던 '처녀'를 '수선'에 빗대어 '처녀'의 아름다움을 나타냄
'수능 국어 > 수능, 평가원 모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현보-어부단가/박인로-소유정가(2023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 (0) | 2022.09.15 |
---|---|
최인훈-크리스마스 캐럴5(2023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 (0) | 2022.09.14 |
작자 미상-소현성록(2023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0) | 2022.07.22 |
채만식-미스터 방(2023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0) | 2022.06.15 |
신동엽-향아/기형도-전문가(2023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0) | 2022.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