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랑-모란이 피기까지는 (23학년도 대비 수능 특강 문학 79-81쪽)
🍫작품 한 입 베어물기
모란이 피기를 간절히 기다림
*작품 해설
-이 작품은 어떠한 대상에 대한 간절한 기다림을, '모란'이 피기를 기다리는 화자의 모습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다.
-화자에게 '모란'은 단순히 하나의 꽃이 아니라, 인간이 추구할 수 있는 최고의 가치나 내면적 순결성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렇기에 화자의 삶은 오로지 '모란이 피는 순간'만을 지향하며, 그것에 대한 간절한 기다림의 자세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화자가 맞이한 봄은 지나가야 하는 봄이고, 봄이 지나가면 모란이 피어난 것에 대해 느끼는 환희도 사라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화자의 봄은 찬란하기만 한 봄이 아니라 슬픔의 봄이기도 하다.
→이 작품의 '찬란한 슬픔의 봄'이라는 모순 형용은 이와 같은 환희와 그 소멸로 인한 슬픔이 한데 섞인 화자의 심정을 드러내고 있다.
*대비와 역설적 표현을 중심으로 작품 감상
-화자는 '모란'이 피는 아름다운 계절이었던 '봄'을 '모란'이 지는 슬픔의 계절로 인식함으로써→화자가 경험하고 있는 부정적 상황을 형상화하고 있음 (수특 4번-②)
-화자는 '내 보람'이 '설움'으로 변화하는 경험을 통해→상황에 대한 화자의 인식 전환이 나타나고 있음 (수특 4번-④)
-'섭섭해 우옵네다'와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에서는→꽃이 사라진 것에 대한 화자의 태도가 대비되면서 화자의 기다림이 강조됨 (31번-①)
-'아직 기둘리고 있을 테요'는→부정적 상황에 대한 화자의 극복 의지가 드러난 것임 (수특 4번-⑤)
-'찬란한 슬픔'은 모순된 진술처럼 보이지만→표면적 진술 너머에 슬픔을 극복하려는 화자의 인식이 담겨 있음 (31번-②)
→'찬란한'과 '슬픔'은 봄을 수식하는 모순된 진술로, 희망과 절망이 공존하는 봄에 대한 인식을 통해 모란이 지는 슬픔을 극복하려는 모습을 강조함
*표현상의 특징
-변형된 수미상관의 구조를 통해→시의 주제를 강조하고 있다. (29번-②)
→1, 2행과 11,12행에 비슷한 구절을 배치하여 모란이 피는 것에 대한 화자의 기다림을 강조함
-도치의 방식으로 시상을 마무리하여→시적 의미/주제 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29번-③, 수특 3번-⑤)
→화자의 보람인 모란이 다시 필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화자의 의지를 드러냄으로써 모란의 개화에 대한 간절한 기다림이라는 주제 의식을 부각함
-음성 상징어를 통해→대상의 움직임에서 느끼는 인상을 드러내고 있다. (29번-④)
→'뚝뚝'을 활용하여 꽃이 떨어지는 느낌을 인상적으로 드러냄
-음성 상징어를 통해→화자가 느끼는 슬픔의 정서를 환기하고 있다. (수특 3번-④)
→'뚝뚝'을 활용하여 화자의 보람인 모란이 떨어진 슬픔의 정서를 환기하고 있음
-작품의 표면에 나타난 화자가→자신의 정서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29번-⑤)
함민복-그날 나는 슬픔도 배불렀다
🍫작품 한 입 베어물기
고단한 생활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건강한 삶의 아름다움
*작품 해설
-고단한 삶 속에서도 열심히 살아가는 중국집 젊은 부부의 삶을 관찰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을 드러낸 시이다.
*대비와 역설적 표현을 중심으로 작품 감상
-'연약한 반죽'과 '튼튼한 미래'에서는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희망을 잃지 않는 중국집 젊은 부부의 건강한 삶을 강조하고 있음 (31번-③)
-'이상한'과 '눈물처럼 아름다워'에서는 중국집 젊은 부부를 향한 태도가 대비되면서→중국집 젊은 부부에 대한 화자의 긍정적인 인식이 부각되고 있음 (31번-④)
-'슬픔도 배불렀다'는 모순된 진술을 통해→화자가 고단한 삶 속에서도 긍정적으로 살아가는 중국집 젊은 부부를 보고 슬픔 속에서도 아름다움을 발견했음을 알 수 있음 (31번-⑤ 참고)
*'모란이 피기까지는'의 ⓐ'어느 날'과 '그날 나는 슬픔도 배불렀다'의 ⓑ'그날'의 의미 이해
-ⓐ'어느 날'은 대상의 소멸로 인해 슬픔을 느낀 시간을 의미함
-ⓑ'그날'은 슬픔 속에서도 아름다움을 발견한 시간을 의미함
'수능 국어 > 학력평가(고2, 고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자 미상-숙향전(2022학년도 9월 고1 학평) (0) | 2022.09.15 |
---|---|
정철-속미인곡/권근-주옹설(2022학년도 6월 고1 학평) (0) | 2022.07.24 |
이색-부벽루/김득연-산중잡곡/박지원-능양시집서(2022학년도 6월 고2 학평) (0) | 2022.07.23 |
이상-거울/천양희-가시나무(2022학년도 6월 고2 학평) (0) | 2022.07.22 |
송순-면앙정가/백석-가재미˙나귀(2022학년도 3월 고1 학평)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