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거울
🍫작품 한 입 베어물기
거울이라는 상징적 소재를 통해 자아가 분열된 상황에 대한 성찰을 나타냄
*작품 해설
-거울을 활용하여 거울 밖 자아가 거울 속의 자아를 관찰하며 자아에 대한 인식과 성찰을 표현하고 있는 작품이다.
-거울 밖 자아는 거울 속의 자아에게 소통과 합일을 시도한다. 하지만 결국 자아 간 합일이 불가능하고 소통이 단절되는 상황을 통해 비극적 자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시상 전개를 중심으로 작품 감상
-1연: 화자는 거울 밖과 구분되는 '거울속' 세상이 존재함을 인식하고 있음 (44번-①)
-2연: 화자는 '거울속'의 '귀'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표출하고 있음 (44번-②)
-3연: 화자는 '거울속의나'와 소통을 시도하지만 '거울속의나'는 '내악수를받을줄모르는' '악수를모르는왼손잡이'인 것에서 자아 간 단절로 소통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음 (44번-③ 참고)
-4연: 화자는 '거울속의나'를 '만져보지를못하'게 하지만 '만나보'게 해준 거울의 이중적 속성을 파악하고 있음 (44번-④)
-6연: 화자는 '거울속의나'와 '나'가 반대이면서도 닮았다는 모순적 상황을 파악하고 있음 (44번-⑤)
*자아 분열 상태를 다룬 이상과 윤동주의 시(EBS 2022 수능연계완성 4주특강)
-이상이 시를 통해 형상화한 현실적 자아는 말 그대로 현실 세계를 살아가는 주체적 자아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질적 자아는 인간의 내면세계, 즉 무의식의 세계에 있는 자아를 의미한다. 이상은 두 자아가 합일되지 못해 심리적 불안감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시를 통해 분열된 두 자아의 화해를 시도하였지만, 근원적 한계로 인해 오히려 자아 분열 상태가 심화됨을 드러내었다.
→이처럼 이상은 상징적 소재를 이용해 한 개인의 자아 분열 양상을 절묘하게 보여 줌으로써 당대 지식인이 겪는 불안 의식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윤동주에게 본질적 자아는 화자가 본래 지니고 있던 순수하고 참된 자아, 곧 이상적 자아를 의미한다. 그리고 현실적 자아는 세속적인 현실의 삶과 타협한 자아를 의미한다. 윤동주는 원래 지니고 있던 참된 자아가 세상에 노출됨으로 인해 현재의 삶에 안주함으로써 참된 자아를 잃어버렸다고 여겼다.
→따라서 윤동주는 시를 통해 자신이 왜 본질적 자아를 잃어버렸는지를 성찰하고, 부끄러움을 해소하기 위해 원래 지녔던 자아를 되찾으려는 적극적 시도의 모습을 형상화하였다.
천양희-가시나무
🍫작품 한 입 베어물기
가시나무의 속성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고통과 함께하는 삶에 대한 성찰과 수용 표현
*작품 해설
-가시나무의 속성과 이미지를 통해 삶에서 겪는 고통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드러낸 작품이다.
-고통을 상징하는 '가시'를 통해 화자의 내면 풍경을 드러내고 '가시밭길'로 표현되는 삶의 과정에 대해 성찰하고 있는 작품이다.
*고통을 상징하는 '가시'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작품 감상
-고통받는 화자의 내면 풍경을→'가시나무'와 '말벌'을 이용하여 드러냈음(45번-①)
-화자의 순탄하지 않았던 삶의 과정을→'가시밭길'이라는 표현으로 드러냈음 (45번-②)
-고통에서 벗어나려는 화자의 행위는 '이 길, 지나가면 다시는 안 돌아오리라 / 돌아가지 않으리라'에서 나타남. '지독한 노역'은 삶의 고난으로 인해 고통스러워하는 화자의 모습을 드러낸 것임 (45번-③ 참고)
-'가시나무'와 '많은 가시', '나'와 '많은 나'의 대응 관계를 통해→고통이 존재의 본질임을 인식했다고 볼 수 있음 (45번-④ 참고)
-고통과 함께하는 삶을 수용하는 화자의 인식을→'나에게는 가시나무가 있다'로 표현했다고 할 수 있음 (45번-⑤)
*표현상의 특징
-유사한 통사 구조를 반복하여 시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43번-②)
→'~는 얼마나 많은 ~를 감추고 있어서 ~인가'의 반복
'수능 국어 > 학력평가(고2, 고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영랑-모란이 피기까지는/함민복-그날 나는 슬픔도 배불렀다(2022학년도 6월 고1 학평) (0) | 2022.07.24 |
---|---|
이색-부벽루/김득연-산중잡곡/박지원-능양시집서(2022학년도 6월 고2 학평) (0) | 2022.07.23 |
송순-면앙정가/백석-가재미˙나귀(2022학년도 3월 고1 학평) (0) | 2022.07.11 |
이문열-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2022학년도 6월 고1 학평) (0) | 2022.06.28 |
유성준 창본-수궁가(2022학년도 6월 고1 학평) (0) | 202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