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국어/학력평가(고2, 고1)

정철-훈민가(2022학년도 9월 고1 학평)

정철-훈민가(訓民歌)

🍫작품 한 입 베어물기

유교 윤리의 실천 권장

*작품 해설(해법 문학)

-이 작품은 작가가 강원도 관찰사로 재직하였던 시기에 백성들을 계몽하고 교화하기 위하여 지은 것이다.

-'훈민가'의 창작 의도는 백성들이 유교적인 윤리관에 근거하여 바람직한 생활을 영위하도록 권유하는 데 있었다. 사실 도덕의 실천궁행(實踐躬行)을 목적으로 하는 계몽적인 내용의 작품들은 독자들의 호응을 얻기가 쉽지 않다.

 →작가는 이를 일방적으로 따르도록 명령하는 어법만을 사용하지 않고, 청유적 어법을 섞어서 활용하였으며

 →백성들이 절실하게 느끼는 인간 관계를 설정하고 정감 어린 어휘들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어떤 작품들보다도 강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설득형 시조의 설득 전략을 중심으로 작품 감상

-<제1수>에서 '두 분'의 '은덕'을 하늘에 빗대어→비유적 표현을 통해 효의 실천을 권유하고 있음 (28번-① 참고)

-<제7수>에서 사람이 '효경'과 '소학'을 배워야 '어질'게 될 것이라고 하는 것을 보니→학문의 권장을 강조하기 위해 인과 관계 활용하기 전략을 활용한다고 볼 수 있음 (28번-②)

-<제8수>에서 '옳은 일'을 하지 않으면 '마소'라고 하는 것을 보니→올바른 행동을 권유하기 위해 흑백 사고 활용하기 전략을 활용한다고 볼 수 있음 (28번-③)

-<제9수>에서 '두 손으로 받치'고 '막대 들고'의 행동을 보니→어른 공경을 권유하기 위해 사례 제시하기 전략을 활용한다고 볼 수 있음 (28번-④)

-<제13수>에서 '내 논 다 매거든 네 논 좀 매어'의 모습을 보니→상부상조의 정신을 권장하기 위해 사례 제시하기 전략을 활용한다고 볼 수 있음 (28번-⑤)

*‘마을 사람들’에 대한 이해

-㉠'마을 사람들'은 화자가 행동의 실천을 바라는 대상이다. (27번-⑤)

*표현상의 특징

-유사한 구조의 어구를 활용하여→삶의 태도를 드러내고 있음 (26번-⑤)
 →'팔목 쥐시거든 두 손으로 받치리라', '나갈 데 계시거든 막대 들고 좇으리라' 

*명령, 청유형 어미를 통한 화자의 표현 방식(해법 문학)

-'~디 마라': 당위적 명령형 표현을 통해→인간의 기본 도리 실천을 강조함

-'~쟈ᄉᆞ라': 청유형의 표현을 통해→바람직한 생각의 실천을 권유함

 →사람이 지녀야 할 당위적인 유교 윤리의 가르침에 대해서는 강한 어조로 강조하고 있고, 향촌에서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미덕을 실천하도록 권유하는 연에서는 청유형의 표현을 쓰고 있다.

*'훈민가'의 전달 체계 - 화자의 세 모습(해법 문학)

-훈민가는 교화를 목적으로 지은 노래이므로, 문학의 효용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화자가 청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이 관건이 된다.

-일반적인 사대부 시조에서는 작자와 화자가 일치하게 된다. 그렇다 보니 훈민 시조의 화자는 대부분 청자보다 높은 층위에서 발화하는 '화자 상위형'이 보편적인 양상이나, '훈민가'는 화자가 청자보다 낮은 층위에서 발화하는 '화자 하위형'과 어떤 일에 화자가 전면에 나서서 적극적으로 행동한 후이웃에게 권유, 동참을 유도하는 '화자·청자 동등형'도 나타난다.

-'훈민가'에서 화자 하위형에 해당하는 작품은 1, 2, 9, 10, 16수로 이들은 오륜의 질서를 그 중심 내용으로 하며 화자·청자 동등형은 7, 8, 13수로 자제의 교육, 사람의 도리, 근면과 상부상조를 권장하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