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흥길-완장
🍫작품 한 입 베어물기
권력의 허구성과 폭력성 비판
*작품 해설
-이 작품은 '완장'으로 상징되는 권력에 도취된 한 인간의 모습을 통해 권력의 허구성을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는 소설이다.
-완장의 상징성: 권력을 상징하는 완장은, 그것을 찬 종술의 횡포를 통해 권력의 폭력성을 드러낸다. 또한 더한 힘을 가진 권력 앞에 쉽게 권위를 잃는 완장의 모습을 통해 권력의 허구성을 보여 주기도 한다.
-이 작품이 군부 독재의 서슬 퍼런 현실을 비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품의 분위기가 어둡지 않은 것은 구수한 남도 방언에서 나오는 해학과 풍자의 힘이라 할 수 있다.
*외적 준거에 따른 작품 감상
15번 <보기>
: 짐바르도 교수의 '모의 교도소 실험'
대학의 건물 지하에 실제 교도소와 유사한 공간을 만든 후, 육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한 지원자들을 모집하여 이들을 무작위로 교도관과 수감자 역할로 분류했다.
실험 참여자들은 자신이 부여받은 역할에 따라 진짜 수감자와 교도관처럼 행동하기 시작했다. 특히 교도관이 된 참여자들은 대부분이 자신들이 행사하고 있는 통제와 권력을 즐기며 공격적인 행동을 하는 경향을 보였다.
-종술이 완장을 차게 된다면→그가 과거에 당했던 것처럼 누군가를 억압하는 존재가 될 것임 (15번-②)
→완장이라는 권력을 부여받은 종술이 그 관력을 이용하여 누군가를 억압하는 존재가 될 것임
-종술이 과거 인연을 맺어 온 완장에 대한 기억은→자신이 권력에 의해 통제를 당하던 일에 대한 것임 (15번-④ 참고)
*내용 이해
-운암댁은 종술의 취직에 대해 양면적인 감정을 느끼고 있음 (13번-③)
-종술은 운암댁이 자신을 걱정하는 이유를 어느 정도는 이해하고 있음 (13번-⑤ 참고)
*㉠'완장'의 기능
-종술에게는 선망의 대상이지만→운암댁에게는 근심의 대상임 (14번-①)
→'그 완장들을 얼마나 또 많이 선망해 왔던가.'라는 종술의 심리
→운암댁은 완장 때문에 죽은 남편이 떠올라 아들이 완장을 차지 않기를 바람
*서술상의 특징
-방언을 사용하여→작품의 지역성을 드러내고 있다. (12번-ⓛ)
-우스꽝스러운 표현을 사용하여→해학성을 드러내고 있다. (12번-②)
→'비단잉어에다 월급봉투를 암냥혀서 한목에 같이 낚어 올리겄네', '사추리에다 차는 완장'
-서술자가 인물의 내면에 들어가서 인물의 속마음을 직접 드러내고 있다. (12번-④)
-구두점을 빈번하게 사용하여→인물의 과거 행적을 압축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12번-⑤)
→'~시절, ~단속들, ~시절' 등
'수능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상섭-두 파산(2023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0) | 2023.03.31 |
---|---|
김동리-역마(2023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0) | 2023.03.30 |
이호철-큰 산(2023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0) | 2023.02.21 |
임제-원생몽유록(2020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0) | 2023.01.25 |
작자 미상-금방울전(2021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