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철-큰 산
🍫작품 한 입 베어물기
#현대인의 이기적 세태 비판
#공동체를 아우르는 근원적 가치의 회복
*작품 해설
-고무신짝에 얽힌 에피소드
: 주인공 '나'가 사는 동네 사람들은 현대적 교육을 받고, 교양 있고 합리적인 사람임을 자처하는 현대인들이 사는 곳임
이들은 고무신짝이 제집 마당에 던져진 것을 보고 공포감을 느끼면서도, 이웃집 담장 너머로 아무렇지 않게 그것을 던져 버림
→표면적으로는 합리성을 추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속으로는 미신을 떨쳐 내지 못하고 개인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이율배반적 모습을 보이는 사람들
: '나'는 사람들의 이러한 모습이 '큰 산'과 같은 공동체를 아우르는 근원적 가치가 부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함
→공동체를 아우르는 근원적 가치 회복의 필요성
*주제의식과 관련하여 작품을 감상
-'나'와 아내가 겪은 일에 비추어 보면→'구름에 깝북 가려진' 큰 산은 공동체를 아우를 수 있는 근원적 가치가 부재한 현실을 상징함 (4번-①)
-'금방 신 내리는 무당'은→아내가 이웃집 담장 너머로 던저버렸던 고무신짝이 다시 집 마당에 떨어져있는 것을 보고 공포에 질려 흥분한 모습을 빗대어 표현한 것임 (4번-② 참고)
-자신은 '꺼림칙'하다고 느끼면서 고무신을 '어느 집 담장 너머로 버렸'다는 것은→현대인의 이기적인 세태를 보여줌 (4번-③)
-이웃들이 '현대적인 교육을 받은 터여서 자존심들은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현대인들이 표면적으로는 합리성을 추구함을 짐작할 수 있음(4번-④)
-'합리적으로 생각하면서 합리적으로 웃음도 나왔지만'이라는 말에서→동네 사람들의 이율배반적 속성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느낄 수 있음 (4번-⑤)
→합리적이지 못한 동네 사람들의 행동에 대한 반응을 '합리적으로'라는 말을 반복해서 서술함
*소재의 공통적 기능
-'지까다비'짝과 '고무신짝': 인물들에게 공포감을 느끼게 하거나 불길한 징조를 떠올리게 함
'수능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상섭-두 파산(2023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0) | 2023.03.31 |
---|---|
김동리-역마(2023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0) | 2023.03.30 |
임제-원생몽유록(2020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0) | 2023.01.25 |
윤흥길-완장(2021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0) | 2023.01.25 |
작자 미상-금방울전(2021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