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국어

염상섭-두 파산(2023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염상섭-두 파산

🍫작품 한 입 베어물기

#해방 이후 혼란스러운 사회상 비판

#물질적·정신적 파산(물질적·정신적 가치의 파멸)

*작품 해설

-해방 직후의 물질적으로 파산해 가는 인간과, 정신적으로 파산해 가는 인간의 유형을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그려냄으로써 해방 이후의 사회상을 생생하게 보여 주는 소설임

-정례 모친의 물질적 파산 과정, 옥임의 정신적인 파산의 심리적 추이와 그 사이에서 교묘하게 중간이득을 획득하는 교장의 간악한 행위 등은 당대의 사회적 현실이며 실제적인 삶으로 볼 수 있음

*주제의식과 관련하여 작품을 감상

-'셰익스피어의 원서'를 끼고 다니거나 '엘렌 케이의 숭배자'를 자처하던 옥임이 이제는 '돈밖에' 모른다며 '체면'과 '우정'도 별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을 통해→'성격 파산'이라는 그녀에 대한 평가가 정신적 파산을 가리키는 것임을 알 수 있음 (4번-①)

-'매달린 식솔은 많구 병들어 누운 늙은 영감의 약값이라두 뜯어 쓰려구, 이렇게 쩔쩔거리구'다닌다며 자신의 처지를 하소연하는 것을 통해→자기대로 살길을 찾으려는 옥임의 절박함과 불안이 과거와 달리 속물스럽게 변한 자신에 대한 죄책감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움. 옥임이 자기가 어려운 처지에 있음을 부각하기 위한 것임 (4번-② 참고)

-'어려운 살림'에도 불구하고 가게를 차리고 '자식들을 공부'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정례 모친의 모습을 통해→그녀가 원래 의도했던 삶의 형태가 스스로 노력하는, 생산적이고 능동적인 생활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음 (4번-③)

-자신의 삶을 '살림'이 '파산 지경'인 것으로 언급하며, 빚 갚기를 독촉하는 듯한 '교장'에게 돈을 건네주는 모습을 통해→빌린 돈을 갚는 것에 급급하며 경제적 파산에 이르게 된 정례 모친의 상황을 알 수 있음 (4번-④)

-'다 어려운 세상에 살자니까 그런 거죠.'라거나 '그래도, 제 돈 내놓고 싸든 비싸든 이자라고 명토 있는 돈을 어엿이 받아먹는 것은 아직도 양심이 있는 생활'이라고 말하는 '교장'을 통해→해방 이후 사람들이 돈을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4번-⑤)

*배경의 기능 

-'길바닥'에서 벌어진 옥임과 정례 모친의 갈등은→'구멍가게'를 하며 돈을 벌어야 하는 정례 모친의 경제적 상황에서 비롯된 것임 (2번-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