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능 국어

작자 미상-금방울전(2021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작자 미상-금방울전

🍫작품 한 입 베어물기

주체적 여성에 의해 고난을 극복하고 남녀가 결합함 

*작품 해설

-이 작품은 동해 용왕의 아들이었던 해룡과 남해 용왕의 딸이었던 금령(금방울)이 온갖 시련을 이겨 내고 혼인을 하여 전생의 인연을 되찾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해룡은 반복되는 고난을 극복해 냄으로써 영웅이 되는데, 고난 극복 과정에서 금방울은 초월적 능력을 발휘하여 해룡을 돕고 해룡과의 사랑을 이룬다.

 →이는 여성 주인공의 적극성을 보여 주는 것으로 당대 여성 독자의 의식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실과 비현실계가 교차하고 고난과 행복이 교차하며 금방울이 변신하는 것 등은 작품의 재미를 더하고 있다.

*주체적으로 시련을 극복해 나가는 인물인 '금방울'을 중심으로 서사 이해

-삼랑과 막 씨 사이에서 금방울이 태어났다는 것은→금방울의 비범한 능력이 남다른 태생과 관련되어 있음을 짐작하게 함 (7번-①)    
-막 씨가 금방울을 괴이하게 여겨 손으로 누르고 짓치고 멀리 버리는 것은→금방울이 태어날 때부터 겪는 고난을 말해주는 것임 (7번-②)
-금방울이 막 씨에게 도움을 준 이후 막 씨가 금방울을 품 속에서 재우는 것은→금방울이 막씨의 박대를 타고난 능력으로 극복해 내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임 (7번-③)
-변 씨의 괴롭힘으로부터 고통받던 해룡이 금방울의 등장으로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 것은→외부로부터 주어진 행운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인물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임 (7번-④)

 →해룡의 문제 해결은 해룡의 노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금방울이라는 외적 존재의 조력에 의한 것임 
-금방울의 도움으로 해룡이 무사하게 된 이후에 해룡이 구호동에 들어가기로 한 것은 변 씨의 계교로 인해 해룡에게 발생한 또 다른 고난이라고 할 수 있음 (7번-⑤)

*서사 구조 이해

-[A]'어느 추운 겨울날~방 안은 여전히 밝고 더웠다': 해룡이 금방울의 존재에 대해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드러남 (6번-②)

 →해룡은 얇은 홑옷만 입고 추운 방에서 잠이 들었으나 방 안이 밝아지고 더워져 온몸에 땀이 날 정도였다. 이에 해룡은 이상함을 느끼고 방 안을 두루 살펴보다 금방울을 발견하게 된다.

-[B]'해룡은 마음속으로 기뻐하며~어찌된 일인지 알 수가 없었다': 변 씨가 해룡을 의심하게 된 이유가 드러남 (6번-②)

 →변 씨는 해룡이 추운 방에서 얼어 죽었을 것이라 생각하고 해룡의 방 안을 엿보았으나, 해룡이 자고 있는 곳 위에는 눈이 없고 더운 기운이 일어나고 있었다. 변 씨는 이것에 놀라 '매우 이상한 일'이라고 생각하고 해룡의 거동을 두고 보기로 하였다.